희망제작소는 지난 19년간 시민과 함께 일상에서 경험한 불편을 해결하는 작은 아이디어를 찾고, 이를 실천과 제도로 연결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시민창안을 통해 제안된 ‘지하철 손잡이 높낮이 조절’, ‘임산부 좌석 표시’, ‘ATM 수수료 사전 고지’는 이제 당연한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시민연구와 시민실험을 통해 발전된 아이디어는 누군가의 직업이나 사업이 되기도 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소셜디자이너'와 '희망제작소'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희망제작소는 종종 같은 질문에 부딪혔습니다.
- 왜 실천 활동은 제도와 정책으로 쉽게 이어지지 못할까?
- 출발은 시민의 아이디어였는데 왜 그 실현은 늘 시민운동이나 정책연구의 몫이어야 할까?

희망제작소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실천은 반복되고 있었지만, 연결되지 않았고, 축적되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질문이 필요했습니다.
- 문제를 가장 먼저 발견해 제안한 사람이 그 문제를 끝까지 해결해야하지 않을까?
- 그러려면 어떤 구조와 자원이 필요할까?
고민 끝에 하나의 확신에 가닿았습니다. 일회성 참여자도 수동적 실행자도 아닌, 문제를 직접 정의하고, 관계를 기반으로 해결을 실험하며, 그 결과를 지역 사회의 변화로 연결해내는 시민이 필요하다는 것. 우리는 이 새로운 시민의 역할에 ‘소셜디자이너’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소셜디자이너들이 실패해도 괜찮고, 다시 도전할 수 있으며, 성과와 경력이 연결되고 축적되는 구조 안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사회혁신의 판을 다시 설계합니다. 특정한 문제 하나를 직접 해결하지는 않지만, 그런 수 많은 지역·사회 문제를 현장에서 가장 먼저 발견하고, 제안하고, 실험하는 시민이 그 문제를 끝까지 해결할 수 없는 ‘구조 자체’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시민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그 안에서 실험이 사라지지 않도록 징검다리를 놓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소셜디자이너와 함께 하는 동반자이자 촉진자로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사회혁신팀의 사업 구조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희망제작소의 역할은 더 이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안하는 기획자’가 아니라, ‘현장에서 시민 소셜디자이너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실험하고 확산하는 동반자이자 촉진자’가 되어야 한다고 정의내렸습니다. 올해 희망제작소는 소셜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한 세 갈래 사회혁신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소셜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이미 소셜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의 실험이 흩어지지 않고, 축적되고, 제도까지 이어지는 징검다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소셜디자인랩(Social Design Lab) : 누구나 소셜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실험형 교육과 워크숍
운영 기간 : 최소 5주~최대 8주
운영 내용 : 나 돌아보기에서 시작해 지역과 사회의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팀 단위로 실험을 설계해 실행하는 프로그램. 지역 필드워크, 커뮤니티 맵핑, 인터뷰, 아이디어 워크숍 등을 거쳐 실행 가능한 관계 기반 문제 해결 모델을 만듭니다.
소셜디자이너클럽(Social Designer Club) : 소셜디자이너의 느슨하지만 단단히 연결되는 네트워크 플랫폼
Meet-Up (밋업) : 지역 소셜디자이너가 중심이 되어 열리는 권역별 모임. 소셜디자이너로 함께 하고 싶은 지역 사회 네트워크 누구나 초대할 수 있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의제를 발굴하고 확산시킵니다.
Match-Up (매치업) : 활동의 방향성이나 운영상 고민을 가진 소셜디자이너가 교류하고, 협력자로서 서로의 실천을 점검하고 확장하는 자리. 느슨한 엑셀러레이팅처럼 기능하며, 활동의 지속성을 높이는 연결점을 만듭니다.
사회적가치투자SIR대회: 소셜한 등용문, 시민이 직접 소셜디자이너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무대
SIR대회는 신규 소셜디자이너들이 시민 앞에 자신의 일과 활동을 소개하는 자리. 시민은 청중심사단으로 참여합니다. 각 소셜디자이너에게 모의투자금을 배분하고, 이 금액은 후속 실험을 위한 실질적 활동비와 피드백으로 이어집니다. 시민의 응원과 지지를 통해 활동가의 실험이 ‘사회적 가치’로 인정받는 순간을 만들어내는 구조를 가진 최초의 소셜한IR대회입니다.
소셜디자이너 컨퍼런스 : 시민 주도 실험으로 정책 담론을 제언하는 스피킹 채널
분야별, 의제별로 제도와 정책 변화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 자리. 소셜디자이너클럽 멤버들 주축으로 사례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며, 주요 이슈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토론하고 공유합니다.
실행하는 시민에서 설계하는 시민으로.
무언가를 바꾸고 싶나요? 사소한 불편을 그냥 넘기지 않고, “이건 왜 바뀌지 않을까?”라고 질문하는 사람이라면, 이미 소셜디자이너의 출발선에 서 있는 셈입니다. 질문과 실험이 이어지는 여러분의 항해에 희망제작소가 함께 나설 준비를 마쳤어요. 지역에서, 일상에서, 온·오프라인에서 더 많은 시민이 자신의 삶과 문제를 바꾸는 소셜디자이너가 되는 길목을 열어가겠습니다.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 소셜디자이너가 궁금한가요
✨ 소셜디자이너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
소셜디자이너들의 실험 현장을 직접 보고,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다양한 자리가 열립니다. 관심과 참여로 소셜한 첫 걸음을 시작해보세요! 희망제작소 뉴스레터(→구독하기)와 SNS(@hope_institute_official)를 구독하시면 가장 빠르게 관련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어요.
📚 소셜디자이너 콘텐츠를 읽고 소문내주세요
소셜디자이너들의 인터뷰와 활동 기록을 통해 어떻게 사회를 바꾸며 임팩트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소셜디자이너가 일으킨 변화는 누군가에게는 용기, 누군가에게는 영감이 된답니다! 관심 있는 분께 소개하거나, 함께 읽어보고 싶다면 주변에 널리 알려주세요. 지금, 당신의 공유 한 번이 다음 소셜디자이너를 만들 수 있을지도요! → 소디 아카이브 읽기
🙋 소셜디자이너클럽 멤버로 가입해보세요
소셜디자이너클럽은 따로 또 같이 성장하고 싶은 소셜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자원과 연결을 지원하는 커뮤니티입니다. 사회적가치투자SIR대회 출전, 소셜디자이너클럽 컨퍼런스와 네트워킹 초대, 소개 플랫폼 게재 등 멤버십이 부여됩니다.
💛 소셜디자이너 프로젝트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문제를 발견하고 실험하는 시민들이 더 끈끈하게 연결되고, 단단하게 성장하는 힘이 됩니다. 희망제작소는 소셜디자이너를 육성하고, 발굴하고, 교육하며 일/활동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어요. 상상력을 무기로 세상을 바꾸는 소셜디자이너 프로젝트가 지속될 수 있도록 희망제작소를 후원해주세요! → 후원하기
🤝 기관·기업·공공 파트너와의 협업을 기다립니다
기업, 공공기관, 행정 부서, 중간지원조직과의 협업이 가능합니다. 지역 기반 실험을 공동 기획하거나, 사회적 의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사업을 설계하고 싶은 조직이라면 언제든지 사회혁신팀으로 문의주세요. 소셜디자이너를 파트너로 연결하거나, 조직 내부에 사회혁신 관점을 도입하고 싶은 분들도 환영합니다.
글: 최나현 희망제작소 사회혁신팀 선임연구원 ㅣ trami@makehope.org

희망제작소는 지난 19년간 시민과 함께 일상에서 경험한 불편을 해결하는 작은 아이디어를 찾고, 이를 실천과 제도로 연결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시민창안을 통해 제안된 ‘지하철 손잡이 높낮이 조절’, ‘임산부 좌석 표시’, ‘ATM 수수료 사전 고지’는 이제 당연한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시민연구와 시민실험을 통해 발전된 아이디어는 누군가의 직업이나 사업이 되기도 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소셜디자이너'와 '희망제작소'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희망제작소는 종종 같은 질문에 부딪혔습니다.
희망제작소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실천은 반복되고 있었지만, 연결되지 않았고, 축적되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질문이 필요했습니다.
고민 끝에 하나의 확신에 가닿았습니다. 일회성 참여자도 수동적 실행자도 아닌, 문제를 직접 정의하고, 관계를 기반으로 해결을 실험하며, 그 결과를 지역 사회의 변화로 연결해내는 시민이 필요하다는 것. 우리는 이 새로운 시민의 역할에 ‘소셜디자이너’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소셜디자이너들이 실패해도 괜찮고, 다시 도전할 수 있으며, 성과와 경력이 연결되고 축적되는 구조 안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사회혁신의 판을 다시 설계합니다. 특정한 문제 하나를 직접 해결하지는 않지만, 그런 수 많은 지역·사회 문제를 현장에서 가장 먼저 발견하고, 제안하고, 실험하는 시민이 그 문제를 끝까지 해결할 수 없는 ‘구조 자체’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시민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그 안에서 실험이 사라지지 않도록 징검다리를 놓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사회혁신팀의 사업 구조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희망제작소의 역할은 더 이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안하는 기획자’가 아니라, ‘현장에서 시민 소셜디자이너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실험하고 확산하는 동반자이자 촉진자’가 되어야 한다고 정의내렸습니다. 올해 희망제작소는 소셜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한 세 갈래 사회혁신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소셜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이미 소셜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의 실험이 흩어지지 않고, 축적되고, 제도까지 이어지는 징검다리를 만들어가겠습니다.
소셜디자인랩(Social Design Lab) : 누구나 소셜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실험형 교육과 워크숍
운영 기간 : 최소 5주~최대 8주
운영 내용 : 나 돌아보기에서 시작해 지역과 사회의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팀 단위로 실험을 설계해 실행하는 프로그램. 지역 필드워크, 커뮤니티 맵핑, 인터뷰, 아이디어 워크숍 등을 거쳐 실행 가능한 관계 기반 문제 해결 모델을 만듭니다.
소셜디자이너클럽(Social Designer Club) : 소셜디자이너의 느슨하지만 단단히 연결되는 네트워크 플랫폼
Meet-Up (밋업) : 지역 소셜디자이너가 중심이 되어 열리는 권역별 모임. 소셜디자이너로 함께 하고 싶은 지역 사회 네트워크 누구나 초대할 수 있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의제를 발굴하고 확산시킵니다.
Match-Up (매치업) : 활동의 방향성이나 운영상 고민을 가진 소셜디자이너가 교류하고, 협력자로서 서로의 실천을 점검하고 확장하는 자리. 느슨한 엑셀러레이팅처럼 기능하며, 활동의 지속성을 높이는 연결점을 만듭니다.
사회적가치투자SIR대회: 소셜한 등용문, 시민이 직접 소셜디자이너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무대
SIR대회는 신규 소셜디자이너들이 시민 앞에 자신의 일과 활동을 소개하는 자리. 시민은 청중심사단으로 참여합니다. 각 소셜디자이너에게 모의투자금을 배분하고, 이 금액은 후속 실험을 위한 실질적 활동비와 피드백으로 이어집니다. 시민의 응원과 지지를 통해 활동가의 실험이 ‘사회적 가치’로 인정받는 순간을 만들어내는 구조를 가진 최초의 소셜한IR대회입니다.
소셜디자이너 컨퍼런스 : 시민 주도 실험으로 정책 담론을 제언하는 스피킹 채널
분야별, 의제별로 제도와 정책 변화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 자리. 소셜디자이너클럽 멤버들 주축으로 사례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며, 주요 이슈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토론하고 공유합니다.
무언가를 바꾸고 싶나요? 사소한 불편을 그냥 넘기지 않고, “이건 왜 바뀌지 않을까?”라고 질문하는 사람이라면, 이미 소셜디자이너의 출발선에 서 있는 셈입니다. 질문과 실험이 이어지는 여러분의 항해에 희망제작소가 함께 나설 준비를 마쳤어요. 지역에서, 일상에서, 온·오프라인에서 더 많은 시민이 자신의 삶과 문제를 바꾸는 소셜디자이너가 되는 길목을 열어가겠습니다.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 소셜디자이너가 궁금한가요
✨ 소셜디자이너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
소셜디자이너들의 실험 현장을 직접 보고,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다양한 자리가 열립니다. 관심과 참여로 소셜한 첫 걸음을 시작해보세요! 희망제작소 뉴스레터(→구독하기)와 SNS(@hope_institute_official)를 구독하시면 가장 빠르게 관련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어요.
📚 소셜디자이너 콘텐츠를 읽고 소문내주세요
소셜디자이너들의 인터뷰와 활동 기록을 통해 어떻게 사회를 바꾸며 임팩트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소셜디자이너가 일으킨 변화는 누군가에게는 용기, 누군가에게는 영감이 된답니다! 관심 있는 분께 소개하거나, 함께 읽어보고 싶다면 주변에 널리 알려주세요. 지금, 당신의 공유 한 번이 다음 소셜디자이너를 만들 수 있을지도요! → 소디 아카이브 읽기
🙋 소셜디자이너클럽 멤버로 가입해보세요
소셜디자이너클럽은 따로 또 같이 성장하고 싶은 소셜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자원과 연결을 지원하는 커뮤니티입니다. 사회적가치투자SIR대회 출전, 소셜디자이너클럽 컨퍼런스와 네트워킹 초대, 소개 플랫폼 게재 등 멤버십이 부여됩니다.
💛 소셜디자이너 프로젝트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문제를 발견하고 실험하는 시민들이 더 끈끈하게 연결되고, 단단하게 성장하는 힘이 됩니다. 희망제작소는 소셜디자이너를 육성하고, 발굴하고, 교육하며 일/활동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어요. 상상력을 무기로 세상을 바꾸는 소셜디자이너 프로젝트가 지속될 수 있도록 희망제작소를 후원해주세요! → 후원하기
🤝 기관·기업·공공 파트너와의 협업을 기다립니다
기업, 공공기관, 행정 부서, 중간지원조직과의 협업이 가능합니다. 지역 기반 실험을 공동 기획하거나, 사회적 의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사업을 설계하고 싶은 조직이라면 언제든지 사회혁신팀으로 문의주세요. 소셜디자이너를 파트너로 연결하거나, 조직 내부에 사회혁신 관점을 도입하고 싶은 분들도 환영합니다.
글: 최나현 희망제작소 사회혁신팀 선임연구원 ㅣ trami@makehop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