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망제작소는 2022년부터 ‘소셜디자이너’라는 이름으로 전국 곳곳에서 활동 중인 청년들을 찾고, 만나고, 연결해 왔다. 소셜디자이너는 개인의 삶과 커리어를 통해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해가는 사회혁신가를 말한다. 이번 보고서는 현재까지 희망제작소가 만나온 소셜디자이너 32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소셜디자이너 활동을 시작한 계기와 배경,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와 사업을 펼치는 과정에서 경험한 지원사업의 장단점 등을 분석한다. 이로써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 톺아본다.
○ 이들의 활동배경은 크게 △자아실현 △지역의 발전 가능성 △ 커뮤니티 구축 등 세 가지로 나눠 분석했다. ‘자아실현’ 카테고리에 속한 소셜디자이너들은 한국 사회 주류 삶의 방식을 따르는 게 아니라 자기 방식의 삶을 일구고픈 욕망을 피력했다. 소셜디자니이너들의 ‘자기 방식의 성공’ 개념엔 공동체를 향한 지향이 담겨 있다. 소셜디자이너들이 발견한 ‘지역의 발전 가능성’은 이제까지 그 가능성이 폄하돼 왔다는 점에서 지역차별의 이면이기도 하다. ‘커뮤니티’, 연결의 바람 또한 소셜디자이너들이 귀촌을 택한 중요한 이유였다.
○ 고향이 아닌 지역으로 이주한 소셜디자이너들은 지역의 인적, 문화적 인프라가 지역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의 포용성이 귀촌지역을 선택한 핵심적 이유였다. ‘비빌 둔덕’이 돼 주는 사람은 귀촌지를 결정하는 데 필수 고려 사항이었다.
○ 소셜디자이너 활동의 특징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을 개괄하기 위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를 크게 6가지 카테고리로 나눴다. ‘커뮤니티’는 소셜디자이너 활동의 핵심적 키워드였다. ‘커뮤니티’ 구축이란 목표는 ‘지역경제활성화’와 접목된다. 일거리가 있어야 인구가 유입되고 그래야 커뮤니티가 탄탄해진다. 소셜디자이너들은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어려운 길’을 택했다. 소셜디자이너 자신이 2030 청년이기에 취업, 주거, 고립 등 청년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주요 관심사였다. 이들은 ‘환경 문제’를 친환경 관광, 노인일자리, 돌봄 등과 연계해 풀어갔다. ‘지역사회 다양한 문제해결’ 카테고리에 속한 소셜디자이너들은 지역 공동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해 가는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이밖에 지역의 문화적 유산을 기록하는 한편, 지역 주민이 겪는 문화적 소외감을 해소하는 활동을 펼치는 소셜디자이너들을 ‘지역문화활성화’ 카테고리로 묶었다.
○ 소셜디자이너들이 밝힌 지원 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시작해 볼 수 있는 발판이라는 점이다. 정부나 지자체 지원사업의 부족한 점은 △유연성 △지속가능성 △정보 △지역 특성 반영 등이었다.
○ 소셜디자이너들이 늘어나고 그들의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으려면 △주거 불안정성 해결 △지원의 유연성, 지속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 특히 소셜디자이너들이 지역을 택한 이유가 자기만의 삶의 방식 구현, 자아실현과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에게 지역이 매력적인 공간이 되려면, 고립, 경쟁 등 도시 생활의 단점을 보완하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키워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글: 김소민 희망제작소 연구위원
희망브리프 읽기
○ 희망제작소는 2022년부터 ‘소셜디자이너’라는 이름으로 전국 곳곳에서 활동 중인 청년들을 찾고, 만나고, 연결해 왔다. 소셜디자이너는 개인의 삶과 커리어를 통해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해가는 사회혁신가를 말한다. 이번 보고서는 현재까지 희망제작소가 만나온 소셜디자이너 32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소셜디자이너 활동을 시작한 계기와 배경,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와 사업을 펼치는 과정에서 경험한 지원사업의 장단점 등을 분석한다. 이로써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 톺아본다.
○ 이들의 활동배경은 크게 △자아실현 △지역의 발전 가능성 △ 커뮤니티 구축 등 세 가지로 나눠 분석했다. ‘자아실현’ 카테고리에 속한 소셜디자이너들은 한국 사회 주류 삶의 방식을 따르는 게 아니라 자기 방식의 삶을 일구고픈 욕망을 피력했다. 소셜디자니이너들의 ‘자기 방식의 성공’ 개념엔 공동체를 향한 지향이 담겨 있다. 소셜디자이너들이 발견한 ‘지역의 발전 가능성’은 이제까지 그 가능성이 폄하돼 왔다는 점에서 지역차별의 이면이기도 하다. ‘커뮤니티’, 연결의 바람 또한 소셜디자이너들이 귀촌을 택한 중요한 이유였다.
○ 고향이 아닌 지역으로 이주한 소셜디자이너들은 지역의 인적, 문화적 인프라가 지역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의 포용성이 귀촌지역을 선택한 핵심적 이유였다. ‘비빌 둔덕’이 돼 주는 사람은 귀촌지를 결정하는 데 필수 고려 사항이었다.
○ 소셜디자이너 활동의 특징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을 개괄하기 위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를 크게 6가지 카테고리로 나눴다. ‘커뮤니티’는 소셜디자이너 활동의 핵심적 키워드였다. ‘커뮤니티’ 구축이란 목표는 ‘지역경제활성화’와 접목된다. 일거리가 있어야 인구가 유입되고 그래야 커뮤니티가 탄탄해진다. 소셜디자이너들은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어려운 길’을 택했다. 소셜디자이너 자신이 2030 청년이기에 취업, 주거, 고립 등 청년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주요 관심사였다. 이들은 ‘환경 문제’를 친환경 관광, 노인일자리, 돌봄 등과 연계해 풀어갔다. ‘지역사회 다양한 문제해결’ 카테고리에 속한 소셜디자이너들은 지역 공동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해 가는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이밖에 지역의 문화적 유산을 기록하는 한편, 지역 주민이 겪는 문화적 소외감을 해소하는 활동을 펼치는 소셜디자이너들을 ‘지역문화활성화’ 카테고리로 묶었다.
○ 소셜디자이너들이 밝힌 지원 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시작해 볼 수 있는 발판이라는 점이다. 정부나 지자체 지원사업의 부족한 점은 △유연성 △지속가능성 △정보 △지역 특성 반영 등이었다.
○ 소셜디자이너들이 늘어나고 그들의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으려면 △주거 불안정성 해결 △지원의 유연성, 지속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 특히 소셜디자이너들이 지역을 택한 이유가 자기만의 삶의 방식 구현, 자아실현과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에게 지역이 매력적인 공간이 되려면, 고립, 경쟁 등 도시 생활의 단점을 보완하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키워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글: 김소민 희망제작소 연구위원
희망브리프 읽기